본문 바로가기

주식

[미증시] 미국 금리가 떨어지면 TLT는 무조건 오를까?

반응형

개요

흔히 미국 국채 ETF 투자라고 하면 tlt를 떠올리게 됩니다. 금리랑 채권이랑 가격이 반대로 간다고 되어있는데 그러면 장기채권을 추종하는 tlt랑은 직접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tlt 란?

ishares란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20년 이상 장기 국채로 이루어진 ETF입니다.


채권과 금리의 관계란?

금리가 오르면 채권의 가격이 떨어집니다. 더 높은 금리의 채권이 나오기 때문에 이전의 채권은 메리트가 적어집니다. 그러면 자연스레 이전에 발행한 채권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clean-blue.tistory.com/98

 

TLT는 왜 금리가 올라가면 주가가 떨어지는 걸까?

1. 개요 TLT라는 티커를 가진 iShares 20 Plus Year Treasury Bond ETF 에 투자하면서도 막연하게 금리가 오르면 내리고 금리가 낮아지면 오르는 ETF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번 기회에 제대로 공부하면서 이에

clean-blue.tistory.com

 

실제 tlt의 주가도 금리가 오르면서 떨어졌나요?

2022년 4월 1일부터 2024년 9월 1일까지의 tlt주가와 기준금리를 나타낸 표입니다. 

119.45 -> 98.08까지 하락했고 최저점은 83.58입니다. 
퍼센트로 따지면 18%하락했고 최저점까지 하락은 약 30%입니다. 

확실히 표로 보니 금리가 오르면서 주가가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금리가 상승하는 시점인 119.45주가(금리는 0.5), 금리가 최고일 당시최저주가인 83.58(금리 5.5)랑 비교해 보면 금리가 5가 올랐고 주가는 35.87이 차이가 납니다. 

금리 1%당 주가가 7원정도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아쉽게도 주가는 기대심리가 있고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꼭 그렇다고 생각하기 어렵습니다.

전체 tlt 기간을 보면 이런 부분을 더 잘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5년부터 9월 1일까지의 tlt주가와 기준금리 비교차트를 가져왔습니다. 보라색은 tlt주가 추세선입니다.

붉은색 표시는 금리 인상기이고 노란색 표시는 금리 인하기입니다. 확실히 그때를 보면 금리가 오르면 주가가 내리고 금리가 내리면 주가가 오르는 것을 눈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그런데 보면 옥색 동그라미를 보시면 금리는 변동이 없는데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그 외에도 tlt 주가는 계속 변동이 있기 때문에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 표를 보면서 들었던 2가지 생각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확실히 금리와 tlt 주가와는 연관이 있다."
두 번째는 "금리로만 tlt 주가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사람들의 기대 심리 및 향후 금리 행방이나 미국 국채의 인기에 따라 값이 오르고 내리고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지금 알아야 할 상황은 tlt 주가가 어느 정도면 적당하고 어느 정도면 팔아야 할까입니다.


tlt 주가 현재는 적당한가?

tlt주가의 최고점은 171 정도입니다. 이때와 비교하면 현재는 확실히 저평가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tlt의 현재가가 98 정도인데 이 정도 주가는 금리가 0.25인 2009~2011년 사이에도 유지되는 주가였습니다. 현재 진입해도 괜찮을 수도 있지만 무조건 수익이라고 보기엔 어려운 주가라고 생각됩니다.


그럼 얼마가 적당한가?

tlt 전체 주가를 평균을 내보니 113.78이라는 평균이 나왔습니다.
좀 더 보수적으로 본다면 저는 110을 넘어간다면 매도를 생각할 것 같습니다.


결론

오늘은 tlt 주가와 금리의 관계가 정말 밀접한가? 무조건 적인 관계인가를 알아봤습니다.
금리에 의해서 떨어지고 오르고 영향을 받긴 하지만 무조건 같이 가지 않는다를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tlt도 금리인하 기대감이 많이 반영됐고 언제쯤이면 매도할지도 생각정리를 해봤습니다.
부족한 자료이지만 투자에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