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회사인가?
프록터 앤 갬블(P&G)은 소비자의 일상에서 주로 사용하는 필수소비재 판매 회사로 글로벌 생활용품 리더입니다.
주력상품은 무엇인가?
아래에는 프록터 앤 갬블의 주요 사업부문과 매출 비중 및 대표 브랜드를 가져와봤습니다.
1. Beauty (뷰티): 약 18%
스킨케어 및 헤어케어 제품
대표 브랜드: Olay, SK-II, Pantene, Head & Shoulders
2. Grooming (그루밍): 약 8%
면도기 및 그루밍 관련 제품
대표 브랜드: Gillette, Venus, Braun
3. Health Care (헬스케어): 약 15%
구강 관리 및 기타 건강 관련 제품
대표 브랜드: Oral-B, Crest
4. Fabric & Home Care (패브릭 및 홈케어): 약 36%
세제 및 청소 관련 제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
대표 브랜드: Tide, Downy, Ariel, Febreze
5. Baby, Feminine & Family Care (유아, 여성 및 가족 케어): 약 24%
기저귀, 여성 위생용품, 가족용 화장지 및 종이타월
대표 브랜드: Pampers, Always, Charmin, Bounty
대표 브랜드들을 보면 다들 익숙하시죠?
페브리즈, 질레트, 오랄비 등 어디서든 들어봤던 메이커입니다.
주력 상품들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부문별 점유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헬스케어 부문을 제외하고는 거의 다 시장 리더 격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헬스케어도 조금 떨어지는 정도지 점유율이 상당합니다.
잘 벌고 있는가?
순수익은 전년동기 대비 -7.55%로 꽤 많이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나온 재무제표로 자세히 보면 net sales(순매출)은 조금 감소했지만 크게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소득세전 이익 손실 부분에서 corporate(기업, 법인) 비용에서 -862M$의 손실을 기록하면서 차이가 벌어졌는데 찾아보니 구조조정 비용으로 지출이 많았습니다.
아르헨티나 경제 상황이 안 좋아지면서 다른 회사에 생산과 유통을 위임하는 방식으로 시장을 포기하고 떠났습니다.
구조조정을 했지만 매출 및 순수익 상황으로 보면 그리 크게 감소한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고 현재에도 여전히 잘 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잘 벌 것인가?
우선 P&G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크게 3가지라고 보입니다.
첫 번째는 인플레이션 등 세계 경제 악화라고 생각됩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원자재 값이 상승하면서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제품가격도 같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사람들이 필수 소비재를 산다지만 소비 여력도 감소하게 되면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로는 강달러 현상입니다.
강달러 현상이면 싸게 납품하던 제품들이 환율차이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이는 악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그리고 수익을 달러로 환전할 때도 상대적으로 적은 수익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세 번째로는 경쟁 심화입니다.
위에서 얘기한 내용들과 연결되는데 P&G이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서 저가 브랜드가 소비자의 선택을 받게 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질레트(Gillette)의 경우 현재 무형자산 가치가 감소한 것을 재무제표상에서 알 수 있습니다.
무형자산 가치가 감소된 것은 질레트의 향후 가치가 감소 됐다는 의미입니다.
질레트는 좋은 품질과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브랜드이지만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졌고 소비자들 또한 저가 브랜드를 찾으면서 경쟁이 심화됐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P&G은 여러 부문이 있고 이들은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문제로 매출이 감소한 것이 아닌 세계 경제 상황의 악화로 영향을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보면서 제품만 좋다면 꾸준히 매출을 올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가격은 적정가치인가?
주가적정성 : P/E가 5년 평균보다 현재 높습니다. (고평가)
배당적정성 : 5년 평균 배당수익률보다 낮습니다. (고평가)
손실내성 : DD이 0%로 현재 고평가 되어있습니다.(고평가)
분명히 좋은 기업은 맞지만 현재 사기에는 비싼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하락 때를 기다리던지 분할매수를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매매할 것인가?
현재는 매매하지 않습니다. 필수 소비재가 앞으로 각광받겠지만 최근 많이 올랐고 좀 저렴했을 때에 들어갔다면 매력적인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기복이 있지만 MDD가 -20%이기 때문에 예의 주시하다가 매매하면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츠 주식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4) | 2024.12.16 |
---|---|
[해외주식,미증시] 샤크닌자(SN)는 어떤기업이고 살만할까? (8) | 2024.11.13 |
[미증시] 미국 금리가 떨어지면 TLT는 무조건 오를까? (14) | 2024.09.30 |
[해외주식,미증시] 저평가된 시스코(CSCO) 매수해도 좋을까? (8) | 2024.09.25 |
[해외주식,미증시] 배당킹 알트리아, 현재 살만할까? (11) | 202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