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크닌자는 어떤회사인가?
샤크닌자(Shark Ninja)는 1994년에 설립된 미국의 가전 브랜드로, 주로 청소기와 주방 기기를 제조합니다.
Shark는 청소기, Ninja는 주방 가전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샤크닌자는 전 세계적으로 2,000여 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블렌딩 및 프로세싱 가전 시장에서 2014~2018년 동안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습니다.
한국에서도 영향력을 많이 발휘하고 있는데 믹서기를 산다면 한번쯤은 들어봤을 브랜드입니다. 저희 집에도 하나 있는데 아주 잘 갈리고 사람들에게도 좋다고 소문이 나 있습니다.
무엇으로 돈을 버는가?
주로 청소기와 주방 가전으로 분류하면 되고 이 2가지가 주력상품입니다.
여기서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나눠보면 아래의 4가지 부문으로 나뉩니다.

1. 청소 가전(Cleaning Appliances): 37%
대표 제품으로는 무선 진공청소기와 로봇 청소기 등이 있습니다. 샤크 브랜드가 유명합니다.
2. 요리 및 음료 가전(Cooking and Beverage Appliances): 28.8%
다양한 프라이어, 멀티쿠커, 그릴, 오븐 등이 포함되며, 닌자 브랜드는 특히 이 부문에서 강세를 보입니다.
3. 식품 준비 가전(Food Preparation Appliances): 25.7%
믹서기, 푸드 프로세서, 아이스크림 메이커 등 제품이 포함됩니다.
4. 기타(Others): 8.5%
헤어 케어 제품과 공기 청정기 같은 홈 환경 제품들이 이 부문에 속합니다.
또한 수출보단 국내 판매(미국, 캐나다)를 주로 하고 있고 비율은 국내가 약 70%이고 국외가 약 30%입니다.


매출의 경우 전년동기 대비 항상 상승해왔습니다. 다만 순수익은 왔다갔다 하는데 이번에는 전년동기 대비 많은 성장을 이뤘습니다.
현재 판매에는 이상없이 잘 판매하고 있고 수익도 계속 잘 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더 잘 벌것인가?
샤크닌자는 샤크 청소기 브랜드와 닌자 주방준비기기 브랜드로 나뉘는데 둘 다 잘 나가고 있습니다.
닌자 브랜드의 경우 2022년에는 점유율 1위를 할정도로 많이 차지하고 있고 현재 점유율에 대한 정보는 찾기가 어려웠지만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파악되어집니다.
샤크 브랜드의 경우 다이슨이랑 경쟁하고 있는데 주로 무선청소기 부분에서 경쟁할 것 같아서 무선 청소기 점유율을 가져와봤습니다.

표를 보시면 무선 청소기 시장에서 다이슨을 추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얼마전에 한국에서 샤크 청소기 광고도 보게 되었습니다. 국제 시장에 활발히 뛰어드는 모습인데 이 샤크 청소기가 성공하는지를 보면 더욱 쉽게 실적을 눈으로 확인가능할 듯 합니다.
다이슨과의 경쟁에서는 낮은 가격 대비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서 샤크 브랜드가 좀 더 경쟁력 있다고 생각합니다. 조만간 추월하게 된다면 이는 샤크닌자 주식이 더 상승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저는 샤크닌자가 앞으로도 더 잘 벌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최근에 문제점은?

샤크닌자의 최근에 현금흐름이 안좋아졌습니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안좋아졌는데 23년도에는 +였다가 -로 전환되었습니다. 자세히 보면 아래와 같은 이유들이 발생했습니다.
1. 이연법인세(Deferred income taxes, net)
미래에 부담해야할 세금으로 당장의 현금흐름과는 크게 상관은 없지만 재무제표상에 기입된 것으로 크게 증가하여 현금 유출하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2. 재고 증가 (Inventories):
2024년에는 재고가 357.1백만 달러 증가했으며,
2023년에 비해서 37% 가량 증가했습니다.
3. 매입채무 증가율 둔화 (Accounts Payable):
2024년에는 162.0백만 달러인데 2023년 343.6백만 달러에 비하면 50%정도 감소했습니다.
매입채무가 증가하면 공급업체에 대한 대금 지급을 유예하여 현금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데 24년도에는 현금흐름의 유동성이 약화되었습니다.
4. 선급비용과 기타 자산의 증가 (Prepaid Expenses and Other Assets):
선급비용이 24년도에는 증가하면서 69.5백만 달러의 현금이 유출되었고 2023년에는 감소해서 65.5백만 달러수익이었습니다.
선급비용이 늘어나는 것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미리 결제했음을 의미해 즉각적인 현금 유출로 작용하고 이 차이는 135백만 달러의 차이를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재무제표 사항들을 보니 현금흐름이 안좋아졌고 이러한 우려를 반영해서 주가가 하락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재무제표 상 현금 보유액도 감소했습니다.

부채도 같이보면 단기부채가 급증하였습니다. 175백만 달러를 리볼빙 대출을 실행했는데 이게 단기부채로 잡힌 듯합니다.
장기 부채또한 적지 않은 금액이고 23년도와 비교해서도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리볼빙 대출을 했다는 것은 현금이 많이 부족한 상황인데 다음 분기보고서도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공부하는 입장에서 써보면 제 생각은 현금성 자산이 부족하다는 생각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방법이 필요하다 생각하고 확실히 재고 자산 증가, 현금 부족 등의 이슈가 생겨서 매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걱정이 되는 부분입니다.
현재 가격은 적정가치인가?

엑셀을 정리해봤는데 해당 기준으로는 파악이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2022년 상장되었고 이렇다할 자료가 쌓이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습니다. 대신 얼마전에 봤던 책을 기준으로 고평가 저평가를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EPS 추정치를 가지고 순수익을 역으로 계산해보는 방법입니다.
EPS 올해 추정치가 4.24인데 가격이 현재 104.27입니다.
그러면 P/E가 24.59가 나옵니다.
이를 역 계산해서 순이익이 얼마가 나와야되는지 계산해보면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
당기순이익(연간) = EPS * 발행주식수
= 4.24 * 140,219,933
= 594,532,515달러
가 나와야합니다.
현재 당기순이익은 309,989,000달러입니다. 거의 2배가 되어야하는데 한분기만 남아있으므로 이를 달성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고 현재 수익에 비해 주가가 과도하게 상승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주식은 어떤 주식인가?
(주식을 6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해서 6가지 주식으로 나누면 저성장중, 대형우량주, 고성장주, 경기순환주, 자산주, 회생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샤크 닌자의 경우 고성장주라고 판단되며 고성장주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매출 및 이익 성장
2. 수익성보다는 성장에 집중
3. 높은 자본 지출(Capex)
4. 높은 부채비율
5. 낮은 배당금
이러한 특징으로 미뤄봤을 때 샤크닌자는 고성장주에 해당되고 부채의 경우 매출의 성장으로 보완된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매매할 것인가?
매매를 하긴 하지만 정찰병을 통해 신중히 분할매수할 것 같습니다.
저는 이 주식이 매력적이라고 생각됐는데 닌자 블랜더는 계속 성장중이고 현재는 청소기까지 한국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판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조사를 하다보니 확실히 성장 중인 주식이라고 생각됐습니다.
다만 우려스러운 점은 현금흐름이 꽤 안좋아졌다는 부분입니다. 이걸 고성장주의 특징이라고 생각돼서 그냥 무시하기 보단 이 부분을 알고 성장이 멈추면 판다라는 생각으로 들어갈 것 같습니다. 현재도 고점 대비 15%가 하락했는데 다음 분기 보고서를 보고 천천히 매수해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미증시] 리얼티인컴 추가매수 구간인가? (4) | 2024.12.16 |
---|---|
리츠 주식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4) | 2024.12.16 |
[해외주식]프록터앤갬블(PG)은 살만할까? (11) | 2024.11.01 |
[미증시] 미국 금리가 떨어지면 TLT는 무조건 오를까? (14) | 2024.09.30 |
[해외주식,미증시] 저평가된 시스코(CSCO) 매수해도 좋을까? (8)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