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재테크

ISA계좌 출금 시 납입원금과 차이나는 이유(예탁금이용료, ISA 수수료)

반응형

개요

올해 초 ISA계좌 포스팅을 쓰면서 채권도 사보고 해 봤습니다. 관련포스팅은 아래의 포스팅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clean-blue.tistory.com/99

 

ISA 계좌 설명 및 채권 투자시 고려 사항

ISA계좌는 일반형과 서민형이 있습니다.일반형과 서민형의 차이일반형은 1년에 2천만 원 납입이 가능하고 3년 동안 총 6천만 원 납입가능합니다. 또한 수익에 대해 비과세이고 3년 동안 500만 원

clean-blue.tistory.com

개설 후 천만 원 정도를 넣었는데 제가 알기론 납입 원금에 대해서는 그대로 뺄 수 있다고 알고 있었는데 최근 중도 출금 금액을 보니 차이가 났습니다.

분명 천만 원을 넣었는데 9050원 정도 못 뽑게 되어있었습니다. 왜 금액이 차이 나지? 하는 생각에 찾아봤습니다.

보통은 수수료로 알고 계실 텐데 수수료가 아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왜 금액 차이가 나는가?

우선 정보의 신뢰성을 위해 10,000,001원 입금한 내역을 보여드립니다. 

그리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면 수수료가 아닌 중도인출 시 세금을 제하고 출금 가능금액을 설정해 두는 것 같습니다.

챗봇으로 내용을 확인해 보니 위의 계산식이 나왔고 이 공식을 다시으면 아래와 같습니다.

출금가능금액 = 최솟값(순납입원금, 인출가능현금) - 총 세액(거래세제외) - 1원

위에 최솟값부분은 투자에 실패해서 납입원금보다 적어진 경우에는 인출가능금액만큼만 가능하고 투자에 성공하면 납입원금만큼만 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그럼 공식대로면 총세액인가?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해지가 계산을 클릭해보시면 소득세랑 지방소득세 합치면 9,880원으로 9050원이랑 차이가 납니다. 

여기서부터는 세금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화상담을 신청했습니다.


전화상담

전화를 걸어 상담을 걸어봤는데 생각보다 해당내용에 대해서 모르고 계셨습니다. 그래도 시간이 걸려서 알아봐 주셨는데 왜 9,050원이 나왔는지 정확한 값을 알 수가 없다고 하십니다. 이 부분은 아아 쉬웠는데 대신 위 계산식은 맞다는 식으로 얘기하셔서 얼마 차이가 안 나니 저 공식으로 알고 있겠다고 했습니다. 

솔직히 그리 납득은 되지 않았지만 증권회사에서도 모른다고 하니... 일단 세금이 빠진다고 알고 계시면 됩니다.


그럼 ISA 계좌 수수료는 있나?

이게 중요하실텐데 중개형 ISA 계좌에 대해서는 운용수수료는 없다고 합니다.

대신 상품 거래시 거래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그에 대한 안내는 아래와 같습니다.

정리하면 신탁형은 0.2%, 일임형 0.1%/0.5% 정도의 수수료가 나오고
중개형은 거래수수료가 나옵니다. 
0.14%(온라인),0.49%(오프라인)의 수수료가 발생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예탁금이용료는 뭔가?

이왕 궁금한 건 다 물어보자는 생각에 예탁금 이용료도 물어봤습니다.

ISA 계좌이용 하시는 분이라면 이런 위의 사진과 같은 내역을 보셨을 겁니다.

쉽게 말해 예수금에 대한 이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화상담으로 확인한 이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100만 원 이하 연 2%
100만 원 초과 0.75%

예수금을 보관하면 이 이자를 예탁금 이용료로 입금해 준다고 합니다.


후기


증권사 어플이나 매매를 하면서 명확하게 공지가 잘 나와있는 것이 잘 없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못 찾는 것일 수도 있는데 왜 출금이 다 안되는지? 세금이 얼만지? 예탁금 이용료 이율은 얼마인지 등등 이런 것들에 대한 안내도 챗봇에 넣어주면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알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혹시 이건 저만 알고 싶었던 건가요?...)

그래도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안 것은 "ISA운용수수료는 중개형은 없다."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중도 인출금액에 빠진 저 세금 부분도 3년 만기 해지 시에는 다 돌려받으니 걱정 안 하셔도 괜찮습니다. 그전에 ISA 중도해지 시에는 세금을 내야 하고요!

이런 부분 참고하셔서 ISA 계좌 투자 잘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