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재테크

월소득 확인하는 방법 (직장인 필수팁, feat 건강보험공단)

반응형

개요


정부에서 제공하는 혜택들을 보다 보면 대부분 월소득을 기준으로 많이 합니다. 

그런데 직장을 다니면서 정확히 월 소득이 얼마인지 아는 분이 많지 않습니다.

월급 외 성과급은? 연차수당 등은 어떻게 계산하지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많은데 오늘은 직장가입자가 이걸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바로 건강보험공단에서 조회할 수 있는 직장보험료인데 이걸 기준으로 나라에서 월 소득을 판단한다고 합니다. 

그럼 같이 조회하는 법을 알아봅시다. 


건강보험공단의 직장보험료란?



직장보험료는 회사에서 신고한 월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작성됩니다.

회사에서 신고할 때 월 소득은 기본급과 정기적인 상여금, 수당 등을 포함하여 1년 치 급여 총액을 12개월로 나눈 금액입니다. 

회사에서 신고하기에 건강보험공단에서 확인 후 잘못됐다면 회사에 정정요청을 하시면 됩니다.


내 월소득 확인하는 방법

요약

로그인 > [민원 요기요] > [개인민원] > [직장보험료 조회] 선택 후 내 월소득 확인


상세

우선 로그인을 합니다.

 
개인민원을 선택한 후  

직장보험료 조회를 누르시면 됩니다. (보험료 조회/신청 아래에 있습니다.) 


직장보험료 조회 화면으로 오시면 연도별 조회가 가능하고 조회하고자 하는 연도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조회를 누르시면 위와 같이 월별 보수월액이 나옵니다. 이를 기준으로 월소득액을 적어서 제출하시면 됩니다.


활용할 수 있는 곳

(1) 대출 심사
대출 신청 시 월소득 증빙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은행 및 금융기관에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2) 정부 지원금 및 사업 신청
소득 기준이 필요한 정부 지원금(예: 긴급복지지원제도, 근로장려금) 및 사업(LH주택 등) 신청 시 사용 가능합니다.

저는 LH주택에 신청하기 위해서 이를 조회했는데 부부합산인 경우 저 보수월액을 배우 자겠도 확인해서 합해서 적어주시면 됩니다.

지난번 LH 관련 포스팅을 했는데 참고해 주시고 이번에도 신청하고 후기를 포스팅 남길 예정이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결론

이 월소득이 실제 내 정확한 소득은 아니지만 증빙자료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조회 방법을 아시면 도움 될 겁니다.

정부지원금, 대출, LH 주택신청 등 월 소득 증빙의 대부분은 이걸로 이뤄지기 때문에 위 방법을 참고하셔서 조회하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