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월트 디즈니(DIS) 기업분석

반응형

개요

월트디즈니의 주가가 엄청나게

하락하여 이에 대한 관심이 생겼습니다.

 

현상황, 사업구조, 경쟁사 등

재무구조 및 다양한 내용을 개인적으로

공부해보기로 했습니다.

 

현상황

구글 주가검색

● 주가 2020년 최저점보다 하락함

2020년 최저점 : 85.98, 현재주가 :80.57

 

● CEO 밥 아이거 복귀

디즈니를 위기에서 구핸 CEO로

이번에도 디즈니 부활을 위해 다시 복귀하게 되었습니다.

 

밥아이거의 복귀로 손실을 반으로 줄이고

경영개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업구조

 

수익

미디어 부문에서는 수익이 감소했지만

선방한 느낌이 있고

 

테마파크부문에서는 수익이 많이

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

 

여기서 영업이익으로 따지면

미디어 사업의 경우

많은 금액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미디어 사업의 영업이익

미디어 사업부의 경우

하락 및 손실을 내고 있습니다.

 

그 이유로 TV 시청의 감소 및 3개 주력 수입이었던

Starwars, Toy Story, Avengers의 수익이 

감소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디즈니+에서의 손실을 반으로 줄였는데

구독자 수 증가와 금액 상승으로 손실을 줄였다고 합니다.

국내 이용자는 빠졌어도 해외 이용자의 

일부 증가가 마케팅비용 일부 감소 시켰다고 합니다.

 

테마파크 부문에서는 

수익을 많이 냈는데

상항이와 홍콩에 디즈니 랜드 리조트를

오픈한 결과라고 합니다.

 

경쟁사

◆ 미디어부문 

스트리밍 사업에서는 Netflix가 절대강자로

41.2%를 차지하고 있고

2위 Prime Video

3위가 Disney+ (9.9%)

...

hulu(5%)

로 2~3위와 hulu까지 합쳐도 Netflix를 

넘을 수 없습니다.

 

그만큼 경쟁에서 밀리고 있는데

향후 추이를 봐야할 듯 합니다.

 

◆ 테마파크 부문

디즈니의 경우 테마파크 업계의 강자로

19년까지 점유율을 49%정도 가지고 있었는데

현재도 압도적이라고 하지만

정확한 수치는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주주친화적 성향

1989년부터 2019년까지 꾸준히 배당을 줬지만

그 이후는 배당컷을 해버렸습니다.

 

현재도 배당을 주지 않는 상태입니다.

 

브랜드

브랜드 또한 많이 손상받았습니다.

인터브랜드에서 21년보단 22년이 낫다고 했지만

아까 위에서 말했던 starwars, Avengers,Toy Story의 경우

팬층이 단단하지만 그래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졌다고 합니다.

 

또한 최근 인어공주 이슈, 어벤져스 영화의 혹평 등에 따라

브랜드 파워가 하락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익성 및 재정적 판단

Net Margin % (수익성)

디즈니 : 2.56 섹터평균 : 4.13

 

Net Income (당기순이익, 백만달러 기준)

디즈니 : 2,252  섹터평균 :3,145

 

등으로 수익성도 여전히 좋지 않다고 판단

 

매수시점 판단

PEG : 1.31

PER : 66.4

RSI : 29.47

 

RSI의 경우 30이하이므로

사람들이 사지 않지만

PEG나 PER의 경우 수익성이 안나와서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 구입의견

4.1

이번 초에만 해도 4.3이상

그러나 계속 낮아졌습니다.

 

예상주가

최고 145$

최저 65$

평균 109.15$

입니다.

하지만 시킹알파에서

목표주가랑 실제주가의 차이를 보면

20~30$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평

손실을 줄이고 있고

CEO 교체 등 많은 노력을 하고있는

디즈니 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개선이 될까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리니어 네트워크 부문이 약하고

디즈니+또한 시장의 주도가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또한 최근에 안좋은 영향을 받아

악재가 겹쳤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테마파크 부문에서는 코로나 19 종식으로

지속적인 매출증가가 이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디즈니+의 변화 방향과 적자를 흑자로 개선하는

조짐이 보이면 투자를 해봐야 할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현재는 투자보류

이번 실적발표 후 재평가 필요

 

개인 투자공부를 위한 글이니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