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업이 뭐하는 곳인지?
카카오 플랫폼을 이용하여 모바일게임 및 PC게임을 퍼블리싱하는 것이 주 사업이고 개발은 자회사인 ㈜엑스엘게임즈, ㈜프렌즈게임즈 등에서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주요작품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퍼블리싱
<PC>
- 배틀그라운드
- 패스오브엑자일
<모바일>
- 오딘:발할라라이징 : 2021년 최고 흥행작
- IR 자료 참고 : 18주 1위, 누적매출 4천억, 22년 상반기 대만출시 확정
- 프린세스커넥트(Re:Dive)
- 월드플리퍼
직접개발
- 엑스엘게임즈 – 아키에이지, 달빛조각사 등을 개발
- 프렌즈게임즈 – 프렌즈샷, 프랜드대모험
출시예정
- 우마무스메 프리티더비(모바일)
- 디스테라(스팀)
- 에버소울(모바일)
- 가디스오더(모바일) : 크루세이더 퀘스트 제작진
- 프로젝트 아레스 : 아직 공개된 정보가 미흡합니다.
어떤걸로 돈을 벌고 있는지?
PC에서는 2분기에 비해서 매출 실적이 그리 증가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네요. 아무래도 코로나라 PC방에서 나오는 수익이 그리 크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반대로 모바일과 기타 산업에 대해서는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오딘:발할라 라이징의 런칭으로 분기 최고 매출을 달성했지만 2022년에는 새로운 시작들이 분발해야 매출을 더 올릴 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오딘의 흥행이 정말 매출에 큰 기여를 했음을 알 수 있네요)
그리고 카카오게임즈에서는 골프산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 같은데 카카오브이엑스라는 자회사에서 진행중인 사업 같습니다.
위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면 골프 관련업과 관련이 있고 ‘프렌즈 스크린’이라는 스크린골프 브랜드를 사용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사업 매출이 전년도 매출을 이미 넘어선 점을 보아 잘 되어가고 있다는 것으로 보이고 골프관련 호재가 나오게 된다면 같이 주가가 상승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현재는 얼마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곳인지?
연간 | 분기 | |||||||
(억 원) | 2018 | 2019 | 2020 | 예정 | 1분기 | 2분기 | 3분기 | 예정 |
매출액 | 4,208 | 3,910 | 4,955 | 1,301 | 1,295 | 4,662 | ||
영업이익 | 472 | 350 | 665 | 156 | 81 | 427 | ||
당기순이익 | 189 | 89 | 675 | 183 | 4 | 443 |
매출은 얼만가?
매출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올해 3분기만 하더라도 거의 2020년 매출액에 근접해 있으므로 매출액은 올해도 큰 폭으로 증가하지 않을까 싶어요
순이익은 얼마인가?
순이익은 1~3분기 까지만 합쳐도 664억으로 이미 2020년의 성장성을 넘겼다고 볼 수 있네요. (오딘의 흥행이 정말 매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연간 | 분기 | |||||||
(억 원) | 2018 | 2019 | 2020 | 예정 | 1분기 | 2분기 | 3분기 | 예정 |
자산총계 | 5,457 | 5,918 | 13,099 | 18,104 | 21,682 | 26,233 | ||
부채총계 | 1,291 | 1,744 | 2,845 | 7,584 | 8,581 | 10,905 | ||
자본총계 | 4,166 | 4,174 | 10,254 | 10,520 | 13,101 | 15,329 |
(가지고 있는) 자본은 얼마나 있나?
자본총계로 비교해 본다면 2020년에 큰 성장을 이루고 21년 3분기까지 생각했을 때 큰 성장을 이뤘다고 생각이 듭니다.
한 주당 순이익은 얼마인가?
DART 공시자료를 참고해보면 제9기 3분기 누적 주당 순이익은 958원, 제8기 3분기 누적 주당 순이익은 1,043, 주당 누적 순이익으로 보면 오히려 감소했는데 실제로 벌어들인 순이익으로 보면 3분기만 해도 순이익이 엄청난데 더 높아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런데 왜 더 작은지 이해가 안되네요 ㅠㅠ(제가 공부가 부족해서 이부분에 대해서 아시는 분은 말씀해주시면 감사합니다)
하지만 머리아프게 계산하는 것 보다 ZUM 투자에서 21년 예상 EPS를 내놨으니 그걸 참고해보도록 하면 예상 EPS는 1,652원 정도입니다.
PER는 얼마에 정해서 적정주가를 구할 것인가?
PER | 연간 | 분기 | ||||||
2018 | 2019 | 2020 | 예정 | 1분기 | 2분기 | 3분기 | 예정 | |
넷마블 | 50 | 49.07 | 34.36 | 48.53 | 187.23 | 240.14 | 320.65 | |
넥슨 | 0 | 81.76 | 114.78 | 123.42 | 51.19 | 40.52 | ||
엔씨소프트 | 23.52 | 31.12 | 32.66 | 35.28 | 222.42 | 179 | 124.51 | |
카카오게임즈 | 0 | 0 | 33.14 | 61.34 | 187.81 | 4,446.15 | 98.8 |
다른 경쟁사들과 비교해도 PER는 다들 상당히 높습니다. 그 중 카카오게임즈가 덩치도 작고 PER도 작게 계산해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기에 최소 PER는 30으로 잡았습니다.
ZUM에서는 예상 PER도 기입해뒀는데 예상EPS와 곱하게 되면 101,333원이 됩니다. 최대치는 여기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보수적으로 생각해두고 이제 최저치를 구해보면 PER를 30으로 잡고 곱하면 49,578원이 됩니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외인에 의해 주가 하락이 결정되므로 현재 12%의 외인보유 비율에서 대부분 빠져 약 10%정도 매도가 걸린다면 계산했을 때 적정주가는 59,129원이 되므로 6만원 쯤으로 가격이 떨어진다면 추매할 생각입니다.
총평
현재 카카오주가는 많이 빠져서 외국인이 다 빠진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최저 가격은 6만원이라고 생각하고 추후 기대작인 우마무스메가 나올 것이기 때문에 그때까지는 버텨보도록 합니다. 다만 주식 대량매도나 카카오전체의 나쁜 이미지를 어떻게 타파하느냐에 따라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참고로 이 글은 기업에 대한 스스로 공부하면서 분석한 글일뿐 투자에 대한 의견이 아닙니다.
투자는 스스로 검증된 원칙과 기준으로 직접 진행하셔야 하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적정주가에 대한 이야기도 제 스스로 공부하면서 써 본 것이기 때문에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부분이나 가르쳐 주실 부분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알려주시어 같이 공부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마블(251270) 종목분석 (0) | 2022.02.02 |
---|---|
펄어비스(263750) 종목분석 (0) | 2022.02.02 |
재무제표 몰라도 반기보고서는 읽어봅시다 (펄어비스) (1) | 2021.11.16 |
이 기업이 싼지 비싼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0) | 2021.09.16 |
보통주? 우선주? 주식의 다양한 명칭 (0) | 2021.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