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펄어비스(263750) 종목분석

반응형

이 기업이 뭐하는 곳인지?

게임소프트웨어 개발 및 서비스를 공급하며 게임을 유통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주요작품

  • 검은사막 IP (모바일, PC, 콘솔 - XBOX, PS4용)
  • EVE IP - 아이슬란드 소재 법인 CCP ehf 회사를 인수하여 서비스 진행 중
  • 슈퍼스트링 - 팩토리얼게임즈 인수하여 진행(흥행 X)
  • 섀도우 아레나 - 검은사막의 스핀오프 게임

 

신작개발

  • 붉은 사막(오픈월드 액션게임)

2021년 하반기 출시예정이었지만 연기가 되면서 주가가 한차례 하락할 정도로 차기 기대작입니다. 연기된 이후 출시일 확정은 없지만 모두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 도깨비(DokeV)(오픈월드 액션게임)

유튜브에서 펄어비스를 검색해보셨다면 한번쯤은 들어보셨을텐데 해외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신작으로 언제 출시될 지는 모르겠지만 플레이 영상으로 엄청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작품입니다. 완성도에 따라 향후 미래가 결정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플랜8(PLAN 8)

어떤걸로 돈을 벌고 있는지?

(펄어비스 3분기 DART 전자공시 분기보고서 출처)

검은사막 IP에서 대부분 매출이 발생했고 전체매출의 80%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3분기까지 매출이 12기의 절반정도밖에 안되는 듯하고 12월 기준으로도 매출보다는 홍보(도깨비, 붉은사막)에 집중했다는 느낌으로 작년과 비슷하거나 작년보단 매출이 좀 줄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검은사막의 경우 중국에 서비스를 시작하여 매출이 증대되지 않을까 싶었는데 이번 연말보고서가 나와봐야 알 수 있을 듯합니다. 현재는 다른 나라에서 서비스를 확대하면서 매출을 증가시키고 있고 신작 출시의 완성도에 따라 향후 회사가 더 성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는 얼마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곳인지?

매출 및 순이익은 얼마인가?

(펄어비스 ZUM 기업개요 출처)  

매출은 계속 왔다 갔다 하는데 올해는 이렇다 할 작품이나 흥행이 없어서 매출 감소 및 영업이익도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수치를 내놨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공감이 가고 신작의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시점이라고 생각됩니다.

자본은 얼마나 있는가?

자본은 얼마나 있나?

(펄어비스 ZUM 기업개요 출처)  

결과적 자본은 늘었지만 부채가 올해 들어서 2배 가량 증가했는데 매출의 증가와 비교하면 과도하게 증가된 게 아닌가 싶습니다.

(펄어비스 3분기 DART 전자공시 분기보고서 출처)

위의 분기보고서 내용을 간략하게 보면 미지급법인세가 작년 말에 비해 거의 80억 가까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단기차입부채, 사채 등 많은 부채가 증가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펄어비스 증권발행실적보고서 출처)  

증권발행실적보고서를 보면 신규IP는 도깨비, 붉은사막, 플랜8이고 메타버스 및 홍보 대응 비용으로도 사용한다고 하니 회사의 규모 확장을 위해 사채를 내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펄어비스 3분기 DART 전자공시 분기보고서 출처)

또 하나 눈여겨 볼 것은 관계기업 투자에 관한 내용인데 RedFox Games는 남미에서 검은사막을 서비스 중이고 최근에는 위메이드와 MOU 체결을 했다고 하네요. (하지만 지분율은 전기말 변동 없습니다.)

 

그리고 빅게임스튜디오를 추가 투자하여 지분율 42.86%를 달성하여 펄어비스가 최대주주가 되어있는데 빅게임스튜디오는 이전에 일곱 개의 대죄:GRAND CROSS를 개발한 회사의 CTO를 맡았던 대표가 설립한 회사로 이번에는 신작 블랙클로버 모바일을 출시하기로 했습니다. 굉장히 유망한 회사로 느껴지고 투자를 잘하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나머지는 펄어비스캐피탈에서 투자목적으로 취득한 것으로 보입니다. 굉장히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고 방향성은 잘 나아가고 있지 않나 개인적으로 생각해봅니다.

한 주당 순이익은 얼마인가?

(펄어비스 ZUM 기업개요 출처)  

EPS를 보면 2018, 2019, 2020년에 비하면 2021년은 2020년의 1/8 밖에 안되는 매우 저조한 주당 순이익률입니다. 그에 맞춰 PER도 굉장히 높아졌는데 4분기 실적이 아무리 좋더라도 EPS의 하락은 피할 수가 없을 듯합니다.

PER는 몇 배여야 적당할까?

(펄어비스 ZUM 기업개요 출처)  

전체적으로 게임주의 경우 PER가 고평가되어 있고 약 30정도면 일반적이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펄어비스의 경우 2020년까지의 EPS가 너무 좋았기 때문에 PER가 낮았고 예상 PER113.83인데 엄청나게 고평가 받게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럼 3가지로 계산해보면

3개년 평균 PER(12.39) * 예상 EPS(1066.50) = 13,213

게임업계 예상 PER(30) * 예상 EPS(1066.50) = 31,995

펄어비스 예상 PER(113.83) * 예상 EPS(1066.50) = 121,399

 

이걸로 예상해볼 때 최대 주가가 121,399원이라고 생각됩니다. (아무리 그래도 주당순이익률이 떨어졌는데 PER도 사상최대라고 보기엔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외국인 보유비중이 15%정도인데 모두 매도한다고 생각되면 현재 시총(62,381억원)10%가 증발한 것이라 생각하고 이를 주식수로 나누게 되면 적정주가는 84,780원이 됩니다.

 

우선 분석 전에 저도 사버려서 ㅠㅠㅠ 물려버렸는데 21EPS를 보고 생각해봐야 할 것 같고 예상보다 너무 낮은 EPS에 실망했지만 신작을 기대하는 마음이 큰 만큼 저점일 때 매수하면서 기회를 노리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향후 어떤걸로 돈을 벌까?

검은 사막 IP보다는 도깨비, 붉은사막 등의 신작출현이 가장 돈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에 앞서 빅게임스튜디오의 블랙클로버 모바일이 성공한다면 제일 최근의 매출에 도움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총평

기술력은 정말 뛰어난 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깨비의 예고 영상이나 붉은사막, 검은사막 등 항상 그래픽에서는 한국에서 최고를 달리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재 순이익이 계속 떨어지는 상황이고 현재 주가는 지금의 이익률로 비교하면 굉장한 고평가라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올해 붉은사막의 출시가 간절해지고 만약에 또 연기가 되거나 올해 출시가 안되면 주가가 지지부진하거나 크게 하락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다만 투자한 빅게임스튜디오의 신작이 나오고 내실을 다진 만큼 또 다른 깜짝 놀랄 소식으로 우리를 놀라게 해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순이익도 얼른 좋아지면 좋겠네요...ㅠㅠ

 

현재도 고점 대비 많이 떨어졌지만 조금 더 하락할 여지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저도 물려있기 때문에 이런 글을 쓰는 것이 도움 되지 않지만 공부하며 배우겠다는 마음으로 분석해보고 있으니 좋은 의견 남겨주시면 배우는 기회로 삼도록 하겠습니다.

 

※ 참고로 이 글은 기업에 대한 스스로 공부하면서 분석한 글일뿐 투자에 대한 의견이 아닙니다.

투자는 스스로 검증된 원칙과 기준으로 직접 진행하셔야 하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적정주가에 대한 이야기도 제 스스로 공부하면서 써 본 것이기 때문에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부분이나 가르쳐 주실 부분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알려주시어 같이 공부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