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스팅이유
최근 비트코인이다 주식이다 부동산이다 투자 열풍이 불었고 저도 공부하는 와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봐도 봐도 오리무중이고 어떻게 공부해야하는지 감이 안 잡히는 시점에 이렇게 글로 포스팅하면서 공부해보고자 한 번씩 주제를 정해서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말끔하게 정리는 안 되겠지만 그래도 최선을 다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2. 적정주가를 맞힌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지 않을까?
주가는 굉장히 유동적이며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변하게 됩니다. 장이 마감되면 고정이 되지만 또 그 다음날이 되면 변동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럼 영원히 고정되지 않는데 어떻게 주가를 맞춰서 수익을 벌어야할까요? 나름의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서 최대한 맞춰보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합니다. 그럼 한번 생각나는 방법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1) EPS*PER로 적정주가 구하기(실패)
기본 공식으론 아래와 같습니다.
“EPS(=한 주당 버는 순이익) * PER(몇 배의 가치인지) = 적정주가”
※ EPS = 세후 순이익/발행주식수
다른 다양한 공식도 있다고 하지만 아직은 알아가는 단계이기 때문에 이것부터 시작해보고자 합니다. 해당 공식을 구하기 위해서는 EPS를 알아야하고 EPS를 계산하기 위해 이마트를 이용해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이익은 이번 분기 4830억이 나왔고 발행 주식의 총 수는 27,875,819개(DART 참고, 증권 어플에서도 쉽게 확인 가능)입니다. 그러면 이제 계산식을 통해 이번 분기 EPS를 계산해 보면
EPS = 4830억/27,875,819 = 17,326원 입니다.
그럼 EPS를 구했으니 이제 PER을 곱하면 되는데 이 PER이라는 것이 매순간 변하게 되고 보통 네이버나 증권 어플의 PER을 참고하게 됩니다. 이 부분에서 굉장히 헷갈리지만 우선 증권 어플(한국투자증권 기준)의 PER을 가져오면 13.87로 되어있습니다. 이제 이 둘을 곱하면
적정주가는 17,326(EPS) * 13.87(PER) = 240,311원이 나오게 됩니다.
나온 적정주가를 기준으로 삼으면 해당 이마트 주식은 너무 저평가 되어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계산을 하다보면 PER값이 굉장히 많은데 어떤 PER값을 써야하냐는 겁니다.
네이버 증권의 경우 PER = 현재가 / EPS로 정의해뒀기 때문에 EPS에 따라 바뀌고 EPS또한 4분기 합산의 평균으로 하기 때문에 현재 분기보고서 및 제가 계산한 값과도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결국 적정주가를 알기 위한 PER과 EPS가 계산법에 따라 달리지므로 적정주가를 찾는 것은 오리무중이 됩니다.
2-2) EPS*ROE*100로 적정주가 구하기 (실패)
이번엔 다른 공식으로 도전해보겠습니다. ROE는 자기자본이익률로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었는지 비율로 나타내는 겁니다. 자본투입 대비 이익률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를 이용해 적정주가를 구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공식입니다.
EPS * ROE(100) = 적정주가
2-1에서 구한 EPS = 17,326을 이용해 계산하면 되니 이제 ROE만 구해보면 됩니다. ROE를 구하는 공식은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DART(전자공시 사이트) 에서 반기보고서를 확인하면 해당 내용을 알 수 있는데 보고서를 통해서 ROE를 계산하면
ROE = 483,028,008,403/10,800,476,153,858 = 0.0447.... = 4%란 값이 나옵니다.
그러면 공식에 따라 곱하면 EPS * ROE(100) = 17,326 * 0.0447 * 100 = 77,447원이 나오게 됩니다... 후...
계산을 포기하고 싶어지게 만드는 수치인데 현재 너무 고평가 되어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값은 잘못된 것인데 이 가격까지 떨어진 기간이 없습니다. 한 마디로 잘못계산했던건지 어쨋든 쓸 수 있는 값이 아니라고 생각이 듭니다.
2-3) PER를 조정하여 계산해보기
나름 의미있는 값을 만들어보고자 평균들을 구해서 PER 값을 계산해보고자 합니다. 계산하려는 공식은
(4개분기 평균 PER + 3년 평균 PER + 현재 분기 PER) / 3
입니다. 이에 따라 구해봅시다.
① 4개 분기 PER 평균
20년 9월부터 21년 6월까지의 평균을 계산해보면 7.06 + 11.67 + 11.79 + 7.09 = 9.4025 입니다.
② 3년 PER 평균
20년 19년 18년을 다 더하면 11.30 + 15.20 + 11.67 = 12.72 입니다.
③ 현재분기 PER
1번에서 확인한 이번 21년 6월 분기 PER은 7.90 이니깐 3개의 PER 평균을 내보면 10.0075이 나오고 EPS와 곱해보면
17,326*10.0075 = 173,389원이 나오게 됩니다.
어느정도 현실적인 값이 나온듯 싶습니다.
3. 후기
우선은 공식을 제 나름대로 찾아보면서 계산해봤는데 제가 생각하는 값이랑은 거리가 먼 듯싶습니다. 누군가가 그랬는데 결국 EPS의 값은 나와 있으니 자신만의 적정 PER를 기준으로 해서 계산하면 될 것 같다고 합니다. 그래서 2-3에서는 제 나름대로 PER를 찾아봤는데 여러 기업을 대상으로 계산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적정주가란 너무 예측하기 어렵고 이 기업이 얼마만큼의 돈을 벌지 모르므로 항상 다 각도로 생각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무모한 도전을 읽어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가 주식 초보이기 때문에 자료는 참고만해주시고 흥미롭거나 안타깝게 보셨다면 댓글로 얘기 나눴으면 좋겠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펄어비스(263750) 종목분석 (0) | 2022.02.02 |
---|---|
카카오게임즈(293490) 종목분석 (0) | 2022.01.28 |
재무제표 몰라도 반기보고서는 읽어봅시다 (펄어비스) (1) | 2021.11.16 |
보통주? 우선주? 주식의 다양한 명칭 (0) | 2021.03.22 |
[주식] 액면분할이란? (1)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