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에스엘(005850) 종목분석

반응형

이 기업이 뭐하는 곳인지?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으로 자동차 램프, 쉬프터 레버 등의 제품을 생산하여 국내 외의 현대차, 기아차, GM, Ford, Geely 등의 OEM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차로의 전환이 급격히 빨라지고 있어 LED Head LampE-Shifter의 채택비중이 점차 상승 중이고 이를 주로 만들고 있는 기업입니다.

 

OEM : 주문자가 요구하는 제품과 상표명으로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
- 네이버 지식백과 출처 -

 

(DART 전자공시 출처)

우선 사업 부문 별로 제가 잘 알지 못해서 한번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부문별로 제품이 어떤 건지 봐야할 것 같습니다.

 

램프부문

(Pixabay 출처)

램프 부문에서는 Head, Fog, Rear 램프 및 CHMSL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샤시 부문

(기어변속기, Pixabay 출처)

Auto Shifter - 자동 변속기어

Manual Shifter - 수동 변속기어

 

Park Brake Lever - 파킹 브레이크

Pedal - 차량 엑셀, 브레이크 패달, 클러치 패달 등

Fuel Filter cap - 기름 주입구

 

Carrier-Spare Tire - 차체에 스페어타이어를 고정 탈착하는 기능

Tie Rod End - 조항 핸들의 움직임을 타이어에 전하는 기능

 

미러 부문

사이드 미러, 백미러

 

기타 부문

(에스엘 홈페이지 출처)

FEM(Front End Module) - 전면 부 부품들을 한 번에 조립이 가능하도록 개발한 모듈입니다.

ADAS -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으로 후방, 전방, 측면 센서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어떤걸로 돈을 벌고 있는지?

(DART 전자공시 출처)

우선 램프부문을 살펴보면 총 매출의 82.8%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고객으로는 현대차/기아차, GM, 길리자동차(지리자동차), 동풍자동차 등 정말 회사에 램프부문을 맡고 있습니다. 길리와 동풍자동차는 중국의 대형자동차 회사로 길리자동차는 볼보를 가지고 있는 아주 큰 회사입니다. 샷시부문에서도 현대, 기아, GM, FORD 등 다양한 회사에 납품을 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에 납품한 주요 제품을 보면 소나타 DN8, 그랜저 LG F/L, 펠리세이드 LX2, 아이오닉5에도 헤드램프 및 기어변속기 등이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DART 전자공시 출처)

국내시장 점유율만 확인할 수 있었는데 우리나라 회사의 69.7%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면 대부분의 헤드램프는 에스엘 제품을 사용한다고 생각됩니다.

에스엘의 헤드램프는 해외에서도 가격과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1997년부터 2021년까지 미국 G.M.社로부터 G.M.에 납품하는 전세계 모든 부품업체를 대상으로 품질, 서비스, 기술, 가격 등에서 우수한 업체를 선정하여 시상하는 QSTP AWARD를 24회 수상하였습니다. 수상 부품협력업체 중 우수한 4개업체만 수여하는 신설된 Overdrive상에 한국 업체로는 유일하게 시상함으로써 G.M.내에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여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인정받고 있습니다.


현재는 얼마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곳인지?

매출 및 순이익은 얼마인가

(ZUM 기업개요 출처)

2018년부터 매출액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고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성장하고 있습니다. 21년은 약간 성장세가 둔화되었지만 당기순이익으로 보면 50%나 증가했습니다. 좋은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데 공시자료에 30%이상 손익구조 변경 자료를 통해서 이를 알아볼 수 있었고 자세한 것은 IR 자료가 나와 봐야 알 것 같습니다. 

(에스엘 IR 자료출처)

유럽, 미국, 중국, 인도, 미국 등 다양한 나라에 자회사가 존재하며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DART 전자공시 출처)

한국에서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리지만 각각 비율로 따지면 한국 54%, 북미 22%, 중국 5%, 인도 14% 등의 비율로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향후 더욱 확장될 요소가 있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나오는 전기차와의 계약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자본은 얼마나 있나?

(ZUM 기업개요 출처)

자산 및 자본은 그냥 무난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올해 자산이 거의 1,000억이 증가했는데 실적 발표 자료를 참고해봐야겠습니다.

(DART 전자공시 출처)

재고자산을 확인해보니 전분기보다 확연하게 늘었습니다. 장부금액으로만 쳐도 전기보다 59%가 상승했는데 재고가 너무 많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평가손실 충당금까지 친다면 손실이 더 많은 것 같은데 4분기는 재고자산을 처리했는지 궁금합니다.

53기는 2020년이고 그 이전은 2019년 2018년인데 3개년을 합쳐도 재고자산이 3,900억이 되었다는 것은 꽤 큰 위험이지 않나 싶습니다. 이제 나올 사업보고서 및 4분기 보고서를 확인해보면서 재고자산에 대해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한 주당 순이익은 얼마인가?

(ZUM 기업개요 출처)

EPS는 아직 나오지 않았는데 최근 4개년 당기순이익 평균/보통주식수로 계산해보면 1,414원정도가 나오게 됩니다. 20년도와 비슷한 수준의 EPS계산이 나왔는데 실제로는 어떨지 조금 더 기다려 봐야 할 것 같습니다. 

PER는 얼마에 정해서 적정주가를 구할 것인가?

ZUM 기업 개요을 보면 3개년 PER 중 가장 낮은 PER가 9.17입니다. 그리고 가장 높은 PER가 26.85인데 이를 기준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1) 3개년 최저 PER (9.17) * 계산 EPS (1,414) = 12,726원
2) 3개년 최고 PER (26.85) * 계산 EPS (1,414) = 37,965원
2) 3개년 평균 PER (15.82) * 계산 EPS (1,414) = 22,369원

4분기 보고서 및 IR자료가 없는 상태에서 계산하려니 조금 대중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래도 52주 최저가를 보니 21,300원이었으며 3개년 평균 PER보다 아랫니기에 이쯤 근처에서 매수해도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향후 어떤걸로 돈을 벌까?

신규 사업 전략으로 아래와 같이 분기보고서에 적어뒀습니다. 

“제한된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당사에서는 수출비중을 높이는데 전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당사는 연구개발(R&D)을 위한 투자비율을 더욱 높이고 있고 신기술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해외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를 요구하는 자동차 트랜드에 따라 2009년 현대자동차 에쿠스 리무진에 국내 최초로 당사의 LED Head Lamp가 장착 되었습니다. 이 밖에도 AVM(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HUD(전방표시장치), 차량용 무선충전기, AAF (Active Air Flap: 능동형 공기유입 제어장치)의 개발을 통해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야간주행 중 카메라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선행차 및 대항차의 눈부심 없는 Glare Free High Beam을 구현하는 IFS(Intelligent Front System)시스템이 탑재된 지능형 헤드램프는 현대차 제네시스 최초의 SUV인 GV80에 장착되었습니다. 또한, 보행자보호를 위한 Back-up Guide Lamp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양산 적용하고 있습니다.“

라고 되어있어서 뉴스를 찾아봤지만 해외 파트너사와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는 뉴스를 찾지 못해서 아쉬웠습니다.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

우선 차에 들어가는 램프류가 주 제품인 만큼 차량판매가 많아야하는데 차량용 반도체 수급이 원활해지느냐 아니냐에 따라 매출이 바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네온 가격이 올라 또다시 반도체 수급난이 길어질까 걱정입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및 출하량을 보면서 투자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총평

매력적인 기업이라는 생각에 투자를 해보려고 가격대를 조사하니 현재 주가(3월 4일 기준)는 24,650원이고 1년 내의 평균값은 29,300원입니다. 그리고 1년 내의 최저 최고 대비 20%정도이므로 가격도 적당하지 않나싶습니다. 다만 19년까지 늘린다면 최저가 9,200원까지 떨어졌고 평균도 21,886으로 낮아져 있습니다. 현재 에스엘의 이평선은 하방이므로 잘 생각해서 투자를 진행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자동차 관련 기업을 정리해보면서 꽤 어려운 분야이고 자동차에 대해 그리 잘 알지 못해서 이번 포스팅은 공부해보자는 마음으로 대략적인 것들을 살펴봤습니다. 전문적인 분석이 아니지만 공부를 위해서는 이 회사가 어떤 회사인지 정도는 파악할 수 있길 바랍니다. 

 

※ 참고로 이 글은 기업에 대한 스스로 공부하면서 분석한 글일뿐 투자에 대한 의견이 아닙니다.

투자는 스스로 검증된 원칙과 기준으로 직접 진행하셔야 하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적정주가에 대한 이야기도 제 스스로 공부하면서 써 본 것이기 때문에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부분이나 가르쳐 주실 부분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알려주시어 같이 공부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