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성이유
주식 요약 정보를 보면서 어렴풋이 이 지표의 높낮이가 좋은지 안 좋은지만 알고 있는데 이번에 정리하면서 확실히 알고자하는 마음에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포스팅을 읽고 정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2. 용어정리
2-1) PER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나눈 것이다.
- 네이버 지식 백과 -
이렇게 적어두면 무슨 말인지 아리송한데 한마디로 버는 돈(당기순이익)의 몇 배가 되는 값으로 평가되는 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기업이 10,000원을 벌고 주식 수가 10개라면 1주당 정가라면 1,000원의 가치를 가져야겠죠? 그러나 1주당 30,000원에 거래가 되고 있다면 PER는 30입니다. 실제로 1주당 버는 가치의 30배의 평가를 받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PER가 높을수록 실제 버는 돈에 비해 과하게 평가받는다고 생각할 수 있으니 이를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2) PBR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낸 비율(PBR =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이다.
- 네이버 지식 백과 -
한마디로 가지고 있는 자산 대비 얼마로 거래되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만약 회사가 이것저것 제하고 가진 돈이 10,000인데 이 회사가 20,000원에 거래된다면 가진 돈에 비해 2배로 거래되므로 PBR이 2입니다. 반대로 이 회사가 5,000원에 거래된다면 PBR이 0.5가 됩니다. 이를 주식 수까지 첨가해서 설명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0,000원의 순자산을 가지고 있는 회사의 주식 수가 10개인데 1주당 2,000원으로 거래되고 있다면 PBR은 2이고 500원에 거래된다면 PBR이 0.5입니다.
따라서 PBR이 1이상이라면 자신의 순자산 이상의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고평가이고 1이하면 순자산 아래로 평가받고 있으니 저평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3) BPS
주당 순자산가치.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기업의 순자산이 남는데, 이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를 말한다.
- 네이버 지식백과 출처 -
위에 PBR을 설명 드리면서 1주당 순자산이 1,000원으로 나왔는데 이 1,000원이 바로 BPS입니다. 주당 순자산가치이고 회사가 부도가 나거나 영업활동을 중지하고 남은 자산을 주주에게 나눠줄 때 1주당 얼마의 값으로 나눠주냐는 것입니다.
위의 PBR 예시에서 보면 저 회사가 망해도 1주당 1,000원씩은 받을 수 있기에 이 아래로 내려가면 저평가 받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회사가 지금 망해도 1,000원씩 받을 수 있는데 이보다 주가가 아래로 떨어지면 당연히 저평가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2-4) PSR
주가매출비율(PSR)이란 주가를 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의 성장성에 주안점을 두고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발굴하는 데 이용하는 성장성 투자지표를 말한다. PSR가 낮을수록 저평가됐다고 본다.
- 네이버 지식백과 출처 -
PSR의 경우 매출액 대비 얼마로 거래되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매출액 대비 시가총액이 적을수록 저평가 되어있고 PSR이 2 이상이라면 매출액 대비 2배의 값으로 거래되고 있으니 엄청난 고평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3. 총평

정리해보자면 위의 그림과 같이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지표는 무엇을 기준으로 주가를 판단했는지에 대해서 명칭이 달라지고 상황에 맞게 해당 지표를 분석하며 저평가 종목을 찾아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라홀딩스(060980) 종목분석 (1) | 2022.04.27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종목분석 (0) | 2022.04.21 |
에스엘(005850) 종목분석 (1) | 2022.03.07 |
LF(093050) 종목분석 (1) | 2022.03.06 |
네오위즈(095660) 종목분석 (0) | 2022.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