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업이 뭐하는 곳인지?
게임소프트웨어 개발 및 서비스를 하는 회사로, PC, 모바일, 콘솔게임 제작 및 국내 외 퍼블리싱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작품
<PC>
- 피망 뉴맞고
- A,V.A (콘솔)
- 블레이드 어썰트
- DJMAX RESPECT V
- Skul: The Hero Slayer (콘솔)
<모바일>
- 브라운더스트
- 기타소녀
- 피망 뉴맞고
- 고양이와 스프
- 킹덤 오브 히어로즈 : 택틱스 워
<개발예정작>
- Lies of P (P의 거짓)
- 산나비
- 시즈로얄
- 언소울드
어떤걸로 돈을 벌고 있는지?
DART 전자공시를 통해서 상세히 공시되어 있으면 좋겠으나 저렇게 뭉뚱그려 얼마에 매출액이 발생하고 있다고 적어뒀습니다. 해당 자료는 3분기 자료인데 네오위즈에서 올려둔 4분기 실적발표 자료를 참고해봐도 뚜렷하게 어떤 제품이 얼마만큼 번다는 것을 공개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4분기 실적발표 자료를 참고해서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2020년에 비하면 많이 줄어들었지만 그래도 3분기에 비해선 증가했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확인해보니 PC/콘솔 게임의 증가는 DJMAX RESPECT V라는 작품의 신규 DLC로 매출이 증가했다고 합니다.
DJMAX는 리듬게임인데 찾아보니 역대 최고 매출이라고 합니다. 이에 2020년 3월에 출시했는데 아직까지 매출에 좋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듯 합니다.
그리고 모바일 부분도 상승했는데 “고양이와 스프” 작품의 매출반영으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고양이와 스프란 게임은 기사로 접한 기억이 있는데 딸을 위해 만든 게임이 대박을 쳤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게임을 개발한 개발사인 하이디어를 200억에 인수해서 4분기에는 이에 대한 실적을 추가했습니다.
그리고 자세한 내용이 없어서 다양하게 찾아보던 중 강원랜드의 슬롯머신 게임의 게임 리소스 사용계약을 체결했다고 합니다. (21년 3월) 5년 동안 계약했다고 하는데 이를 통해 글로벌 소셜카지노 게임 제작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를 이용해 얼마나 수익을 올릴지는 아직 정확하게 보여지는 게 없어서 아쉽습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10308000103
네오위즈-강원랜드, 슬롯머신 콘텐츠 사용 계약 체결
네오위즈-강원랜드, 슬롯머신 콘텐츠 사용 계약 체결
www.newspim.com
관련기사
현재는 얼마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곳인지?
매출 및 순이익은 얼마인가?
매출액은 21년이 되면서 소폭 하락했습니다. 그리고 영업이익은 정말 많이 줄었습니다. 무려 전년대비 62%나 하락했습니다.
자세히 보면 매출액도 약 270억 감소하고 영업비용도 90억 정도 증가했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작년에 비해 360억 정도 감소하는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 실적발표 자료에서는 영업비용의 증가 요인으로 인센티브 충당금 증가, 스팀 매출감소로 말했습니다. 작년에 DJ MAX덕에 매출을 견인했다면 올해에는 그리 큰 대작이 나오지 못해서 매출액의 손실이 크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자본은 얼마나 있나?
자산 및 자본은 그냥 무난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올해 자산이 거의 1,000억이 증가했는데 실적 발표 자료를 참고해봐야겠습니다.
무형자산과 비유동 금융자산이 많이 증가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이 없습니다. 다만 무형자산의 경우 저정도로 급증하는 것이면 라이선스나 소프트웨어 관련해서 증가하지 않았을까 싶은데 그래도 640억정도 증가는 너무 큰 증가가 아닌가 싶습니다. 비트코인 등의 자산이 무형자산으로 취급된다고 하는데 그런 것은 아닐지 걱정이 됩니다.
한 주당 순이익은 얼마인가?
EPS는 아직 나오지 않았는데 최근 4개년 당기순이익 평균/보통주식수로 계산해보면 1,825원정도가 나오게 됩니다. 20년과 비교하면 많이 저하되었고 이게 추정치라서 더 떨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PER는 얼마에 정해서 적정주가를 구할 것인가?
위의 ZUM 기업개요를 살펴보면 평균적으로 PER가 8을 기록하고 있고 높았을 때에도 15정도가 됩니다. 게임 기업치곤 굉장히 PER를 못받는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장중에는 높아지기도 하니 이 PER를 기준으로 보수적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1) 네오위즈 평균 PER (8) * 계산 EPS (1,825) = 14,600원
2) 네오위즈 3개년 최고 PER (15) * 계산 EPS (1,825) = 27,375원
3) 대략적인 업계 평균 PER (30) * 계산 EPS (1,825) = 54,750원
기존 게임주들은 PER가 높아서 굉장히 무서웠는데 네오위즈는 특이하게 3개년 PER가 정말 낮습니다. 그만큼 기대감이 낮다는 생각이듭니다. 작성 시 현재(22년 3월 2일) 주가는 25,350원인데 이미 2번 계산 금액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매수에 대한 고민을 해봐야 하는데 실적이 너무 안 좋아서 아직 망설여집니다. 15,000원 가까이로 떨어진다면 적극 매수를 고려해볼 듯 합니다.
향후 어떤걸로 돈을 벌까?
시즈로얄이라는 게임을 메타라마라는 네오위즈 자회사에서 개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위에는 그 공식 트레일러 영상인데 이대로 게임을 낸다면 상당한 퀄리티의 NFT 접목 게임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트레일러 영상만 봐도 상당히 공들였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네오위즈에서 서비스 할 게임에 로그라이크(로그와 비슷한 게임의 장르) 장르가 많은데 위에 올려둔 SKULL과 같은 게임입니다. 스컬은 비용 대비 흥행에 성공하였고 종합 평가나 유저들의 반응도 굉장히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 인디게임 최초로 100만장 판매를 달성했다고 합니다. 이런 것에 힘입어 산나비, 언소울드 등 비슷한 장르의 게임을 준비중으로 알고 있는데 이 역시 게임성이 좋아보입니다.
마지막으론 P의 거짓이라는 게임인데 국산 게임 중에서는 그 누구도 시도해보지 않은 소울라이크(소울 시리즈와 비슷한 게임의 장르) 게임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고 있으며 완성도도 높아보입니다.
이러한 게임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을 하고 있고 이를 매출로 잘 연결시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문제는 이러한 게임들이 기대만큼 잘 나왔을 때 실적이 빠르게 개선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총평
여러 게임주들을 포스팅하면서 국내 게임주가 기대만큼 잘 나올까하는 걱정과 최근 NFT다 메타버스다 거품이 끼이는 것 같아서 포스팅 의욕이 꺾여있었습니다. 그래서 게임을 찾아보던 중 네오위즈 차기작을 봤는데 유저로서 기대가 되는 게임들이 있었고 이게 미래의 성장 동력이 되지 않을까 싶어서 포스팅해봤습니다.
현재 네오위즈는 투자하기 그리 좋은 기업은 아니고 현재 주가도 많이 낮아져있습니다. 다만 계속해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고 게임에 많은 노력을 보이는 것이 보입니다. 게임을 주로 즐겨하는 입장으로는 이런 회사들이 커졌으면 싶습니다. 다만 투자는 결국 돈을 벌어야하기 때문에 이게 매출로 이어질지는 두고 봐야 할 듯 싶습니다.
※ 참고로 이 글은 기업에 대한 스스로 공부하면서 분석한 글일뿐 투자에 대한 의견이 아닙니다.
투자는 스스로 검증된 원칙과 기준으로 직접 진행하셔야 하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적정주가에 대한 이야기도 제 스스로 공부하면서 써 본 것이기 때문에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부분이나 가르쳐 주실 부분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알려주시어 같이 공부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엘(005850) 종목분석 (1) | 2022.03.07 |
---|---|
LF(093050) 종목분석 (1) | 2022.03.06 |
스튜디오드래곤(253450) 종목분석 (0) | 2022.02.19 |
카카오(035720) 종목분석 (0) | 2022.02.18 |
공시용어 알아보기(신주인수권,주식매수선택권,전환가액조정) (0)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