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스튜디오드래곤(253450) 종목분석

반응형

이 기업이 뭐하는 곳인지?

국내 최대의 드라마제작사로 드라마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업을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고 편성, 판매, 기타 사업으로 나눠서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요작품을 먼저 살펴보도록 합시다.

 

주요작품

미생, 도깨비, 시그널, 나의 아저씨, 보이스2, 호텔 델루나, 사랑의 불시착 등등

 

21년 주요작품

(스튜디오드래곤 IR 출처)

좋아하면 울리는2, 빈센조, 갯마을 차차차, 유미의 세포들 등

 

위의 작품들로만 봐도 드라마에 관심없는 분들도 한번씩 제목은 들어봤을 드라마들이 넘쳐납니다. 그만큼 한국인에게 아주 잘 먹히는 드라마를 만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튜디오드래곤 IR 출처)

그리고 스튜디오드래곤의 지배구조를 한번 보면 CJ 소속입니다. 따라서 거의 대부분 tvN편성되고 이를 참고하시면서 아래의 자료를 봐주시면 더 이해하기 편하실 겁니다.


어떤걸로 돈을 벌고 있는지?

(스튜디오드래곤 IR 출처)

드라마 편성과 판매가 거의 90%의 매출을 차지하고 얼마나 잘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지는 시청률 및 판매현황 같은 것을 참고해야할 것 같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214분기 작품과 22년 작품의 시청률을 봐야겠습니다.

 

최신작부터 되짚어보면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겠습니다.

(스튜디오드래곤 IR 출처)

스튜디오드래곤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방영시기별로 정리해봤습니다. 아이치이는 이번에 조사하다가 알게 되었는데 중국의 드라마 플랫폼이라고 합니다. 위의 표를 보면 시청률 10%넘은 것은 단 2편 밖에 되질 않고 OTT 방영한 것도 4개 밖에 없습니다... 저번 분기를 조사해보지 않아 어떤지 모르겠지만 생각보다 아쉬운 성적표라는 생각이 듭니다.

(스튜디오드래곤 IR 출처)

2022년 예상 기대치를 올려놓은 자료를 보면 21년 성적표를 알 수 있는데 많이 아쉬운 성적표입니다. 방영 편수도 2019년부터 계속 내리막이었고 판매매출은 1.5%에 콘텐츠 투자율도 9.1%였습니다. 2022년에는 많은 투자와 편성을 할 것이라고 얘기했는데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재는 얼마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곳인지?

매출 및 순이익은 얼마인가

(스튜디오드래곤 ZUM 기업개요 출처)

연간 매출액을 살펴보면 감소했지만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2020년에 비해 증가했습니다. 이게 어떻게 된 건가 확인해보니 비용이 많이 줄었습니다.

(스튜디오드래곤 IR 출처)

자세히 보니 비용총계가 줄었고 매출원가를 확 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걸로 영업이익이 늘어나게 됐습니다. 편성이나 판매를 보면 줄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매출이 많이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본은 얼마나 있나?

(스튜디오드래곤 ZUM 기업개요 출처)

3분기에 비해서 부채가 1,565억에서 2,002억까지 상승했는데 자세히 보내 유동부채가 많이 증가했습니다. 이유는 공시 보고서를 확실히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 주당 순이익은 얼마인가?

(스튜디오드래곤 ZUM 기업개요 출처)

EPS는 아직 나오지 않았는데 최근 4개년 당기순이익 평균/보통주식수로 계산해보면 963원정도가 나오게 됩니다. 19년도와 비슷하지만 순이익은 많이 줄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PER는 얼마에 정해서 적정주가를 구할 것인가?

스튜디오드래곤은 매년 보니 엄청난 PER를 받고 있습니다. 위의 자료 중 제일 낮을 때가 72.3입니다. 또한 변화량을 보고 ZUM에서 제공하는 최저 최고 PER를 나타낸 아래의 자료를 보면 최저는 45.7이고 최고는 104.46입니다.

(스튜디오드래곤 ZUM 투자 출처)

이 자료들을 토대로 계산해보면

 

1) 3개년 최저 PER (72.3) * 계산 EPS (962) = 69,552

2) 2018년 최저 PER (45.7) * 계산 EPS (962) = 43,963

3) 3개년 최고 PER (88.7) * 계산 EPS (962) = 85,329

 

연도별 PER중 가장 큰 값인 88.7을 대입해봐도 현재 EPS로는 85,329원이 최고입니다. 안전하게 생각한다면 주가가 43,963원까지 떨어진다고 생각해볼 수 있고 이때까지 스튜디오드래곤이 받은 PER를 계산하면 69,552원으로 떨어지면 매수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재무로만 보기에는 그렇게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향후 어떤걸로 돈을 벌까?

(스튜디오드래곤 IR 출처)

스튜디오 드래곤의 IR자료를 보면 2022년 라인업을 출시했는데 기대가 되는 작품이 많았습니다. 우선 김혜수가 나오는 <소년심판>2022225일날 NETFLIX로 공개되는데 굉장히 보고 싶은 작품입니다. 그리고 현재 방영중인 <스물다섯,스물하나>는 제가 스튜디오드래곤을 찾게 된 계기가 되는 작품으로 꽤나 몰입해서 보고 있습니다. 현재 3화까지 나왔고 벌써 시청률이 8%인 것을 보면 히트를 칠 것 같은 작품입니다. 계속 이렇게 좋은 작품이 나와 준다면 스튜디오드래곤 매출구조도 크게 개선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총평

드라마 제작사로 인건비 등 판관비*가 증가함에 따라 부담이 많이 되지 않나 싶습니다. 최근 스튜디오드래곤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래도 2022년에는 좋은 작품으로 시작을 열어 기분좋은 출발이지 않나 싶습니다. 현재 주가는 그래도 고평가 되어있다고 생각이 들고 계속해서 나오는 라인업을 확인해보고 투자하는 것이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K-드라마가 흥행하고 있는 지금 투자를 고려할 수도 있겠지만 저는 좀 더 지켜보고 투자할 예정입니다.

 

*판관비 : 기업의 판매와 관리,유지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통틀어 칭하는 용어, 급여, 복리후생비, 임차료 등이 포함
- 네이버 지식백과 출처 -

 

 

※ 참고로 이 글은 기업에 대한 스스로 공부하면서 분석한 글일뿐 투자에 대한 의견이 아닙니다.

투자는 스스로 검증된 원칙과 기준으로 직접 진행하셔야 하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적정주가에 대한 이야기도 제 스스로 공부하면서 써 본 것이기 때문에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부분이나 가르쳐 주실 부분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알려주시어 같이 공부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