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자녀 세액공제는 근로자가 자녀를 낳아서 키우게 되면 세액공제를 해줍니다.
세액공제에 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2.02.24 - [기타 재테크] - 연말정산의 기본개념 알아보기
연말정산의 기본개념 알아보기
1. 소개이유 이번에 연말정산을 해보다가 모르는 용어도 많고 소득공제가 뭔지 세액공제가 뭔지 몰라서 천천히 조사하면서 알아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알아보니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기본
clean-blue.tistory.com
그러면 세액공제도 알았겠다 자녀세액공제 대상과 혜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녀 세액공제 요건은?
연령 요건 :만 8세(2017.12.31 이전 출생) 이상 ~ 만 20세 이하
소득 요건 : 공제대상의 연간소득금액 합계가 100만 원 이하
기타 조건 :
자녀가 실제로 생계를 같이해야 함.
자녀는 한국에 주민등록(거소)을 둬야 함
국적 제한은 없으나 해외에 단기 체류 중인 경우는 제외될 수 있음
2023년 이후부터는 부모와 생계를 같이하는 기본공제 대상 손자녀도 자녀 세액공제에 포함
자녀 세액공제액은 얼마인가?
자녀 수당 세액공제액이 차이가 있으며 3명 이상부터는 30만 원씩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자녀 3명인 경우 35만 원+30만 원=65만 원,
4명인 경우 35+60=95만 원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출산 시 혜택은 없나?
다자녀(출산·입양) 세액공제도 있습니다.
연도 중 출산 또는 입양한 공제대상 자녀가 있으면 그 자녀 순번에 따라 별도 공제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첫째 자녀 출산·입양 시 30만 원,
둘째 자녀 시 50만 원,
셋째 이상 자녀 시 70만 원을 추가로 세액공제합니다.
이 공제는 기본공제 대상 자녀 수에 합산하여 적용됩니다.
단 이 세액공제는 1회성으로 위의 자녀세액공제랑 다르게 출산 입양연도 1회만 받을 수 있습니다.
기타 자녀 관련 세제 혜택은?
자녀 세액공제 외에도 자녀 양육가정은 여러 세제 및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자녀장려금: 소득이 낮은 맞벌이·저소득층 가정에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을 지급합니다. 다만, 자녀 한 명에 대해 자녀장려금과 자녀세액공제를 동시에 받을 수는 없습니다. 즉 동일 자녀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으면 그만큼 자녀장려금에서 차감됩니다.
교육비 세액공제: 자녀가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교육을 받는 동안 교육비 지출(유치원비, 학원비, 교재비, 대학 등록금 등)에 대해 일정 비율(일반 15%, 국외유학 등 30%)로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학자금 대출 이자 상환액도 일정 한도로 공제됩니다.
출산·보육 지원: 출산휴가급여, 육아휴직급여, 보육료·유치원비 지원 등은 세액공제는 아니지만 비과세 또는 지급 지원 형태로 아동 양육비 부담을 줄여줍니다.
기타 공제: 자녀가 양로시설 등에 보내지거나 장애를 가졌다면 장애인공제, 의료비·보험료·기부금 세액공제 등 자녀 관련 지출 항목에서도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 예시사례로 보는 자녀세액공제
조건
맞벌이 부부 : 배우자 100만 원 이상 소득
자녀 2명(3세, 올해 출산)
위 조건을 예시로 세액 및 소득공제를 아래와 같이 계산해 봤습니다.
소득공제 :
본인(150만 원), 배우자 ×, 자녀 2명 인적공제(150만 원 ×2)
총 450만 원
세액공제 :
자녀세액공제 ×(8세 이상 자녀 무)
출산 세액공제 50만 원(올해 출산 자녀 1명 둘째, 1회성)
외벌이일 경우 배우자 소득공제만 추가됩니다.
결론
의외로 찾아보면 자녀 출산 시 혜택이 많고 세금, 지원금 등이 적지 않습니다.
자녀 세액공제도 출산 후 받는 혜택 중 하나입니다.
8세면 올해 출산하신 분들은 혜택이 없지만 대신 출산 시 세액공제가 있으니 이걸 참고하셔서 혹시나 공제를 받지 못하셨다면 꼭 국세청에 정정요청을 하여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기타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지출 늘어서 걱정? 온누리상품권으로 돈 아끼기 (5) | 2025.07.10 |
---|---|
중입자 암치료비용과 보험, 제대로 알아보고 대비하자 (3) | 2025.06.16 |
신규은행에 예적금 가입시 주의해야할 점(feat. 한도제한계좌, 우리은행) (1) | 2025.02.15 |
교통사고 후 대인 접수할까 말까? 직접 겪어본 합의 과정과 보험료 영향 (1) | 2025.02.14 |
월소득 확인하는 방법 (직장인 필수팁, feat 건강보험공단) (6)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