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재테크

[금융] 제1금융권? 제2금융권? 정리하기

반응형

우리는 대출을 할 때 제1금융권에서 항상 대출을 받아라 라는 얘기를 들어왔는데 "제1금융권이란 무엇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인 의문점을 해결하고자 찾아보면서 이를 같이 공유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포스팅을 하게 됐습니다!

 


1. 그럼 각각의 정의는 뭔가요?

 1) 1금융권 (=은행)

  •   은행을 뜻하는 용어 [시중은행, 지방은행, 특수은행(국책은행) 등]

 2) 2금융권 (=은행을 제외한 금융기관)

  • 본래 은행과 구별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로, 은행이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는 전문적인 금융수요를 충족시키는 기관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보험회사 등]

3) 3금융권 (= 사금융업체)

  • 부업법을 통해 양성화된 금융권으로 대부업 등록을 정식으로 한 업체
  • 법적으론 제1~2금융권까지만 금융기관으로 인정하여 제3금융권인 대부업체들은 법적으로 금융기관이 아님

간단하게 정리하면

제1금융권 = 은행
제2금융권 = 은행이 아닌 법적 금융기관
제3금융권 = 민간 대부업체

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부하면서 알게 된 것은 1,2,3금융권이란 용어는 공식용어가 아니라 언론의 편의상 구분했던 명칭이 굳어져서 정착한 용어라고 합니다.

 


2. 그럼 각 분류별로 해당하는 기업은?

1금융권

제1금융권 은행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KDB산업은행, SC제일은행, BNK부산은행, 한국CITI은행, DGB대구은행, BNK경남은행, SH수협, JB광주은행, JB전북은행, 제주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2 금융권

우체국예금, 증권사, 종합금융회사, 보험회사, 카드사, 캐피탈, 지역농협, 지역수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신협, 상호저축은행 등 은행이 아닌 곳

 

3금융권

러시앤캐시, 리드코프, 산와머니 등

(불법대부업체와는 다르고 제3금융권의 대부업체들은 법정 최고금리 연20%이내에서 이자를 받는다)

 


3. 그럼 왜 1금융권이 좋다고 하는 걸까?

 

1금융권의 경우 예금, 대출 금리가 낮습니다. 그리고 예금자보호법을 통해 1인 이자포함 5,000만원 까지 보호해줍니다. 또한 리스크가 적기 때문에 안전하게 자산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2금융권은 제1금융권보다 부도 리스크가 조금 더 크게 있습니다. 그에 따라 유동성이 생겨 예금, 대출금리가 높아 주로 예금을 하는데 많이 사용합니다. 2금융권도 5,000만원까지 보호해주지만 그 이후의 금액은 도저히 받을 금액이 없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으면 신용도 하락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기에 이를 잘 확인하셔야 하고 웬만하면 제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3금융권의 경우 만화에서 보던 폭력 등을 사용해 빚을 받아내는 업체는 아니지만 최고 이자 20%이내에서 추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자가 엄청 높지만 낮추는 추세라고 합니다. 또한 불법사채랑도 구분을 잘해야 하는데 폭력 등의 불법 추심을 할 수 없습니다. 혹시나 제3금융권에서 대출을 받고 싶으시다면 반드시 등록되어있는 업체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렇게 금융권에 대해 알아봤는데 공부하면서 우리의 자산을 지켜봅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