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A 통장 개설해야하나?(종류 및 금리 비교 판단)
CMA 통장이란?
제가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증권사나 종합금융회사에 돈을 맡기게 되는 계좌입니다.
그러면 이런 증권사나 종합금융회사에 돈을 맡기면 어떻게 될까요?
바로 이 돈으로 국채, 어음 등에 투자하여 수익을 내게 됩니다.
그 수익 난 것을 기반으로 저에게 이자를 주는 통장이 바로 CMA 통장입니다.
그럼 만약 수익이 나지 않으면 손실이 발생하는 거 아닌가 싶고
이는 CMA 통장 종류를 보면서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CMA 통장 종류
1. RP형 CMA
비대면 CMA 개설 시 일반적으로 개설되는 CMA 계좌로
아마 대부분 이 RP형 CMA 통장을 보유하고 있을 것입니다.
RP형은 쉽게 말하면 우리나라 국채에 투자하여
이자를 돌려준다는 것입니다.
RP는 한글로 환매조건부채권이라고 하는데
금융기관이 일정기간 지난 다음 확정 금리를 주고
추후 재구매 조건으로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이론상 원금손실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고정금리에 안정성이 좋고
모든 은행이 망하지 않는 이상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희박합니다.
2. 종금형 CMA
RP형과 비슷하게 안전자산에 투자하지만
이 상품은 예금자보호가 됩니다.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되는데 안전한 만큼
금리가 낮다는 평이 많습니다.
3. MMF형 CMA
금리가 높은 만기 1년 이내의 단기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하여 얻은 수익을
이자로 주는 CMA 통장입니다.
이자가 높지만 손실위험이 생깁니다.
4. MMW형 CMA
우량한 금융기관(한국증권금융)의 예금, 채권, 발행어음, 등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고
그에 따른 실적을 지급하는 CMA.
가장 큰 특징으로는 익일 원리금(원금+이자)를 재투자해서
일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기본 이율이 낮지만 일복리라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리합니다.
CMA 통장을 가입할 건지?
우선 가장 많이 가입하는 RP형은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아도 안전하기 때문에
CMA 통장을 들어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현재금리는 어느 정도일지 찾아봤습니다.
방금 네이버에서 찾아봤는데 CMA 계좌들의 수익이 다 낮습니다.
그리고 종금형이랑 RP유형은 금리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습니다.....
조사한 것과 차이가 납니다.
종금형을 자세히 확인해보면 기간이 길수록 이자를 더 줍니다.
하지만 현재 금리 인상이야기가 나오고
예금 금리는 4%가 나오는 상황이고
다양한 금융상품들이 높은 금리를 주고 있습니다.
또한 토스뱅킹의 파킹통장도 2.3%를 주는데
이것도 일 복리 효과를 주고 있어
굳이 어렵게 CMA 통장을 개설할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개설하기 편한 파킹통장이 낫지않나 생각합니다.
그래도 이번에 CMA 통장에 대해 알아보면서
다양한 금융상품에 대해 알게 되었고
추후 저금리 기조로 가게 될 때 다시 한 번 알아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