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해외주식,미증시] CWAN은 어떤회사일까?

깔끔한파랑 2025. 6. 18. 10:37
반응형

어떤 회사인가?

Clearwater Analytics Holdings, Inc.(CWAN)는 클라우드 기반 투자회계 및 리스크 분석 SaaS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주 고객은 보험사, 자산운용사, 기업, 공공기관이며, 약 1,400여 곳에 서비스를 제공 중입니다. 2024년 말 기준으로 약 8.8조 달러의 글로벌 투자 자산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미국 델라웨어에 설립되었으며, 본사는 아이다호 보이시(Boise)에 위치해 있습니다. 

CWAN은 2021년에 상장한 비교적 젊은 기업으로, 고성장 SaaS 전략을 유지 중입니다.


주 매출 상품과 매출 구조

Clearwater는 단일 사업부 구조로 클라우드 기반의 투자 데이터 집계, 회계, 분석, 보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해당 서비스는 주로 B2B로 기업에 제공되는 클라우드 기반 프로그램입니다.

2025년 1분기 매출은 $126.86M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5% 성장했습니다.

미국 내 매출은 $102.9M(+23.8%), 해외 매출은 $23.9M(+22.2%)로 글로벌 전반에서 고르게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이것만 보면 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주목해야 할 것은 매출구조입니다. 

매출구조

CWAN의 매출은 플랫폼 기반 구독형 SaaS 수수료에서 발생합니다.

수수료는 CWAN 플랫폼에 올려 관리하는 자산 가치(Assets under Management, AUM)에 비례하여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그러다 보니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 수수료가 하락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2022년부터는 Base+ 모델을 도입해, 기본료(Base Fee) + 자산 증가분에 대한 추가 수수료(Incremental Fee)로 구성하여 자산가격 하락에 따른 매출 감소를 줄였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전 계약도 수수료를 올리거나 BASE+ 모델을 도입하여 신규 계약을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계약은 월별 후불 청구, 30일 내 결제가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매출상품의 강점 및 해자는?

CWAN의 가장 큰 장점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프로그램으로 온프레미스(설치형) 보다 유지보수가 쉽고 속도 및 정확성도 타사에 비해 높다고 합니다.


잘 벌고 있는가? 

출처 : Macrotrends

매출: $126.86M (2024년 1분기: $102.72M → +23.5%)
매출은 매 분기마다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아주 좋은 신호고 충성도도 높다고 하니 주목할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출처 : Macrotrend CWAN EPS

순이익: $6.94M (2024년: $2.24M → +209%)
EPS (희석 기준): $0.03 (2024년: $0.01)
작년 동기대비 증가했는데 이전분기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세금 관련 환입받아서 회계상 증가했기에 무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총 자산: $1.29B (2024년 말: $1.17B → +9.9%)
총부채: $142.7M (2024년 말: $139.3M → +2.4%)
총자본: $1.12B (2024년 말 : $1.01B → +10.9%)

특이사항으로는 현금성 자산이 $97.8M 증가($177M → $275M)했으며, 이는 주로 투자 자산 처분 및 유입에 기인합니다.

무형자산(특허 및 상표 등)이 $30.9M → $142.9M으로 급증했는데, 이는 Wilshire 및 Blackstone의 BISTRO 플랫폼 인수 때문입니다.

부채비율은 약 12% 내외로 매우 낮고, 재무적 안정성이 높습니다.


현금흐름은 안정적인가?


영업활동 현금흐름: $24.5M (전년: $10.0M → +144.2%)
투자활동: +$99.5M (전년: -$11.8M) 
주로 보유 중이던 단기 및 장기 투자자산 매각 수익 발생
재무활동: -$27.2M (전년: -$30.1M)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중 Net Income이 전년 동기 대비 3배 증가한 것이 아주 좋은 신호입니다.

현금흐름도 안정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미래 전망은 어떤가?

Clearwater는 2025년 4~5월에 걸쳐 두 건의 대형 인수를 발표했습니다.

Enfusion(ENFN)과 Beacon을 $760M과 $560M의 큰 비용을 지출하면서 인수하였습니다.

CWAN은 주로 백오피스(고객 대면 X, 정보제공위주) 위주의 데이터를 제공했지만 ENFN을 인수하면서 프런트-미들-백오피스 통합 클라우드 플랫폼 역량을 키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참고) 프런트오피스 : 고객 대면 서비스

또한 Beacon은 복합파생상품 및 사모대출 분석 플랫폼이므로 복잡한 파생상품 및 사모대출 등에 관한 역량을 증가시켰습니다.

현재에는 역량증가 하면서 몸집을 키우고 있고 더 많은 서비스를 하기 위해 인수합병을 꾸준히 하는 모습입니다.


리스크 요인은 무엇인가?

시장 리스크 의존도: 매출은 플랫폼에 탑재된 자산 가치에 비례하여 수수료가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금리 및 자산시장 하락 시 매출이 하락할 수 있고 이는 분기보고서에서 명시하고 있는 사항입니다. 다만 이는 매출구조를 변경하면서 극복하는 중이라고 생각합니다.

고객군 집중도: 전 세계 1,400여 곳의 기관 고객을 보유하고 있지만 주요 매출은 대형 기관 고객군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는 매출이 자산크기에 연동되어 있기 때문인데 이는 자산가격 하락 또는 대형 기관 고객 이탈 시 크게 타격받을 수 있습니다.

최신 이슈 소개

Wilshire Analytics 인수 완료 (2024년 4월)

CWAN은 Wilshire Advisors의 주요 리스크 및 성과 분석 소프트웨어(AAA, iQComposite 등)를 약 $40M에 인수했습니다.

이 인수로 CWAN은 채권·주식·대체투자 등 다양한 자산의 리스크와 성과를 한 번에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한 분석 플랫폼을 갖추게 되었고,  
‘Clearwater Wilshire Analytics’라는 새로운 브랜드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Blackstone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BISTRO 인수)

CWAN은 Blackstone이 자체 개발한 포트폴리오 시각화 및 분석 소프트웨어 ‘Bistro’를 약 $125M에 인수했습니다.

Blackstone은 세계 최대 대체투자 운용사로, CWAN의 고객이 되었으며,  이 인수로 CWAN은 사모대출·프라이빗 크레디트 등 비상장·대체자산의 분석 역량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TRA(세금수취계약) 해지 완료
CWAN은 IPO(상장) 당시 맺었던 세금수취계약(TRA, Tax Receivable Agreement)을 $72.5M에 일괄 정산해 완전히 종료했습니다.
이로써 앞으로는 추가적인 세금 관련 지급 부담이 완전히 사라져, 현금흐름과 순이익의 불확실성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CWAN은 리스크/성과분석 역량을 Wilshire 인수로, 대체투자 분석 역량을 Blackstone(Bistro) 인수로,  그리고 세금 관련 불확실성을 TRA 해지로 각각 대폭 강화하며,  글로벌 투자관리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더 강력하고 안정적인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와 밸류에이션은 어떤가?

 
주가적정성
P/E는 평균 P/E보다 높으므로 저평가 구간은 아니지만 성장률 기준으로 PEG를 보면 0.62로 매우 낮은 수치입니다. 또한 Earning 적정주가를 보면 29달러로 현재 주가보다 높으므로 일부 저평가 구간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주당순유동자산 기준으로 보면 또 너무 고평가 되어있습니다. 

수익성
매출성장률은 평균 21%로 성장 중이므로 굉장히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내년 EPS 추정치는 크게 하락했는데 이는 위에서 얘기한 것처럼 인수합병으로 EPS 하락이 예상됩니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성장률은 좋지만 아직 아리송합니다.


 
배당적정성
배당은 없습니다.

손실내성
-47%가 최대 MDD인데 현재 -25% 정도입니다. 
저평가긴 하나 역사적 저점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결론

현재 성장성 측면에서는 지속 성장하는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지만 단기 수익성 부분에서는 걱정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조사 내용으로 보자면 26년 27년쯤에는 수익성이 훨씬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현재는 몸집불리기 단계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주가는 완전 저평가됐다고 판단하기엔 어렵고 성장성이 꺾인다면 주가하락을 피할 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21년도에 상장한 회사로 앞으로가 기대되니 관심종목으로 넣어둘 예정입니다.

투자에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