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해외주식,미증시] BDX의 급락, 투자할만한가?

깔끔한파랑 2025. 5. 15. 10:37
반응형

어떤 회사인가?

BD는 미국 뉴저지에 본사를 둔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으로, 주사기·약물주입기·진단장비 등 의료 필수품을 제조합니다. 
약 75,000명의 직원을 두고 있으며, 전 세계 190개국 이상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주 매출 상품은 무엇이고 매출은 잘 나오는가?



BD는 아래 세 가지 사업부문으로 구성됩니다.

BD Medical: $2.76B 매출[52.4% 매출비중] (+12.7% YoY) 
주사기, 정맥삽입장치, 주입 펌프 등 약물 전달 및 감염 예방 솔루션을 제공

인수한 “Advanced Patient Monitoring” 부문이 Medical에 포함되어 큰 폭 성장

BD Life Sciences: $1.25B 매출[23.7% 매출비중](-4.4% YoY) 
바이오 연구용 장비, 체외진단 시스템, 병원용 실험기기 등을 생산
정부 연구자금 감소의 영향으로 진단장비 수요 둔화

BD Interventional: $1.26B 매출[24%매출비중](-2.2% YoY)
수술용 기기, 비뇨기·혈관 중재 장비 등 고부가 의료 솔루션 보유
비뇨기 제품 일부 수요 감소

총매출은 $5.27B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습니다.


잘 벌고 있는가?

연도별 매출 출처: finviz

 

분기별 매출 출처:finviz

2025년 2분기 매출은 $5.272B로 예상보다 1.51%하락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아래와 같은 상황의 발생으로 수익이 감소했다고 합니다.
제품 리콜 관련 충당금 $76M
FDA 관련 충당금 $124M
인수 관련 회계 조정 $162M

이것에 관해서는 리스크 요인에서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미래 전망은 어떤가?

1. 경쟁 심화
BDX의 절반이상의 매출을 차지하는 건 Medical부문인데 주사기나 정맥주입시스템 등입니다. 주입요법 부문에서는 전 세계 시장점유율 3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부분도 경쟁 중이라고 합니다.

다만 점유율이 압도적인 것도 아니고 경쟁사가 많기에 수익률 측면에서는 그리 밝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2. Life Sciences 부문
Life Sciences 부문을 2026년까지 분리하여, 핵심 의료기기 사업에 집중 예정입니다.

다만 일부에서는 매각을 위한 분리가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고 합니다. 

저도 비슷하게 생각이 되며 물적분할하여 상장하면 한쪽은 좀 빠지는 경향이 있던 터라 조금 경계하면서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리스크 요인은?


1. FDA 품질위반 경고장 수령

원문:
The Company’s liability recorded for estimated future costs associated with certain actions required to respond to the Warning Letter and to address the non-conformities was $124 million as of March 31, 2025, which reflected net adjustments recorded to increase the liability in the first and second quarters of fiscal year 2025 of $22 million and $76 million, respectively.

번역:
회사는 경고장(Warning Letter)에 대응하고 비준수 사항(non-conformities)을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치와 관련된 향후 예상 비용에 대해 2025년 3월 31일 기준 총 1억 2,400만 달러의 부채를 계상했습니다. 이 금액에는 2025 회계연도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2,200만 달러와 7,600만 달러의 순조정을 통해 부채를 증가시킨 내용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을 해석해서 정리해 보니 FDA로부터 Dispensing Warning Letter(의약품 디스펜싱 품질관리 시스템 관련 경고장)을 받았다고 합니다.

특히 CareFusion 303, Inc. (BDX가 인수한 자회사)가 제조한 BD Pyxis 디스펜싱 시스템에 대해 FDA의 품질 규제 위반이 지적되었고, 위반 수정 중 발생한 비용입니다.

해당 내용은 AI를 통해 찾아보니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안전기능실패, 보고의무위반 등 111건의 시스템 결함을 발견하고 이는 치명적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전에도 BDX는 2018년도에도 FDA 경고장을 받은 적이 있다고 합니다.


2. 미국 정부의 R&D 예산 축소 및 관세로 인한 제조원가 상승

미국 정부는 최근 몇 년간 R&D 예산을 축소해 왔으며, 이는 생명과학 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예산 삭감은 새로운 치료법 개발과 임상 시험에 필요한 자금을 줄여, 의료기기 등의 필요가 줄어들면서 자연스레 매출에도 영향이 가게 되었습니다.

또한  BDX는 미국 내에서 상당한 제조 기반을 두고 있으며, 최근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수입 원자재에 대한 관세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세 인상은 제조 비용을 높이고, 2025년 동안 약 2억 달러의 비용 증가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가격은 적정가치인가?


주가적정성
PEG 기준으론 굉장히 고평가지만 PBR기준으로는 저평가 구간에 들어갔다고 생각합니다. P/E도 5년 평균대비 낮아서 현재주가는 저평가구간이고 어닝 기준 적정주가보다도 낮아져서 매수하기에 매력적인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수익성
평균매출보다는 높고 EPS도 6% 성장하고 있으므로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배당적정성
배당은 52년 동안 꾸준히 주고 꾸준히 상승해 왔습니다. 5년 평균 배당성장률은 굉장히 높았는데 아쉽게도 지금은 배당성장률이 낮습니다.
평균배당수익률보다는 높지만 현저히 높진 않아서 저평가로 판단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손실내성
지금 현재가 고점대비 최대 낙폭구간입니다. 역사상 -23%나 하락한 적이 없는데 과매도구간임은 확실해 보입니다.


그래서 매수할 것인가?

매수하기엔 좋은 타이밍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매수하기는 꽤 망설여지는데 그 이유는 경쟁이 심하다는 것과 FDA 경고장이 신경 쓰입니다.

전체 매출로 따질 땐 엄청 큰 금액을 손실 보진 않았지만 신뢰도 하락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단기적으로 너무 하락했기에 기술적 반등이 있을 것 같은데 정찰병을 보내볼 생각입니다.

제 글이 투자판단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저도 생각정리 겸 적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